포인트/경험치 지급안내
게시글 잘못된 정보에 대한 정정.. 멸구간

관련링크
본문
제가 이전 게시글에서 저고가 3:3일 때 멸구간이 1:2 유형 2:1 유형 가운데 유형으로 3개가 나온다고 했는데 3개가 아니고 4개입니다.
유형은 낮은 번호 구간과 높은 번호 구간 양 사이드로 2:2 모양으로 분리되는 유형과 가운데로 4개가 몰리는 가운데 유형으로 나오더군요.
2호기 통계로 최근 27회 동안 겨우 5회만 출현하였습니다.
이전 1년치 통계로 확대해서 봤더니 평균적으로 위의 경우처럼 구간 4개 멸이 많이 나왔고 아주 예외적으로 3개 멸 5개 멸도 출현하긴 하더군요.
9구간 분석법이고 멸구간 선택으로만 제외수 20개가 정해집니다.
댓글목록
가이버님의 댓글

상박하세요
sun님의 댓글

상박기원합니다
소주노객님의 댓글

감사합니다.
위닝님의 댓글

오해할 수가 있어서 덧붙이자면, 저고 3:3의 출현 횟수가 27회 중 5회라는 말입니다. 원래 저고 비율은 3:3이 젤 많이 나오고 그 다음이 2:4 4:2입니다. 데이터 참고는 더로또 저고 비율 참고 http://yoon0305.co.kr/DaphneLowHigh.aspx
멸구간이 4개 나온 것은 27회 중 16회 3개 나온 게 7회 5개 나온 게 4회 입니다.
1년치분 54회로 확대하면 3개가 12회 4개가 27회 5개가14회 6개가 1회입니다.
이 데이터의 의미는 1년 동안 멸구간 4개가 절반 나왔고 나머지 절반이 3개랑 5개가 나왔다는 뜻입니다. 간단히 말해 4개로 찍으면 절반은 간다는 말이죠.
에너지의 측면에서 보면 이전에 4개보다 3개/5개의 에너지가 더 강했는데 최근 6개월간은 3개/5개보다 4개가 더 강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햇반님의 댓글

상박기원합니다
그랜드님의 댓글

감사합니다~~^^
상박나시길~
쑤야님의 댓글

감사합니다
Limky님의 댓글

상박 하시길..